

전시산업평가연구원
Trade Fair Institute
& Messe Meister Business Intelligence Lab (R&D Center)
Trade Fair Institute
The Institute of Trade Fair Management & Performance Evaluation
-
Trade Fair & Exhibition Consulting
-
Trade Fair Performance Evaluation
-
Business Model Development for Trade Fair Industry
-
Marketing, Strategy, Venue Planning, Business Intelligence & Human Resources
-
Trade Fair Data Analytics
-
for Exhibitors
-
for Venue Owners & Managers
-
for Exhibition Organizers
-
for Associations
-
for Governments
-
for Policy Makers and
-
for Investors

전시산업평가연구원 소개
Trade Fair Institute
The Institute of Trade Fair Management & Performance Evaluation
환영합니다!
전시산업평가연구원은 국내외 전시산업 전반에 대한 성과평가 툴을 개발하고,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한 성과평과를 실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전시산업의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통하여 정부, 지자체, 전시컨벤션센터, 전시주최자, 전시참가업체 및 전시바이어를 위한 고급 컨설팅 및 성과평가 툴을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전시비즈니스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전시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Key Words:
Trade Show, Trade Fair, Exhibition, Trade Fair Industry, Messe, Performance Evaluation, Messe Meister, Business Intelligence, Consulting, Data Analytics, Business Model Development

전시산업평가연구원 조직

연구원장 임택 박사
-
주 연구분야: 전시컨벤션센터 운영 및 성과평가, 전시회 가치평가, 전시산업정책
연구위원 김영선 박사
-
주 연구분야: 전시산업 사회적 영향평가, 전시컨벤션센터 타당성분석
연구위원 박창원 박사
-
주 연구분야: 전시산업정책, 남북전시산업연구, 전시회 경영 컨설팅
연구위원 이지연 박사
-
주 연구분야: 전시컨벤션센터 타당성분석, 해외전시회 성과 평가
책임연구원 이은영 박사수료
-
주 연구분야: 전시컨벤션센터 타당성분석, 해외전시회 성과 평가
연구원 강현나
-
주 연구분야: 전시회 서비스 평가
연구원 조유진
-
주 연구분야: 전시산업정책
연구원 김윤경
-
주 연구분야: 전시산업 성과분석 및 경영컨설팅
연구원 이예원
-
주 연구분야: 전시산업 성과분석 및 경영컨설팅
연구원 이혜민
-
주 연구분야: 데이터기반 전시산업 분석
연구원 김새솔
-
주 연구분야: 해외마케팅 평가
연구원 박은정
-
주 연구분야: 데이터기반 전시산업 분석
연구원 유은빈
-
주 연구분야: 데이터기반 전시산업 분석
연구원 김나현
-
주 연구분야: 데이터기반 전시산업 분석
객원 연구원 및 파트너
객원 연구위원 정철 교수 (한양대)
객원 연구위원 김태칠 박사 (경기대)
객원 연구위원 송연 박사 (코트라)
객원 연구위원 이나현 박사 (교육부)
객원 연구위원 Zhou Yan 교수 (북경연합대학 Beijing Union University)
객원 연구위원 Wu Jialin 교수 (텐진상업대학 Tianjin University of Commerce)
객원 부연구위원 이해석 (코엑스)
객원 책임연구원 박광규 (코트라)
객원 책임연구원 윤동현 (주 래빗)
연구 파트너: 국방마이스연구원 배순근 원장
연구 파트너: 독일 드레스덴공과대학교 Walter Freyer 교수
전시산업평가연구원
사업 분야
-
전시산업 경쟁력 평가 (국가경쟁력, 도시경쟁력)
-
전시회 등급평가 (전시회 Quality 평가)
-
해외전시회 한국관 지원사업 성과 평가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
해외전시회 참가 성과 평가 (개별기업)
-
국내 및 해외 전시회 NPS (Net Promoter Score) 평가
-
해외마케팅 지원사업 성과 평가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
전시장 신증축 예비타당성 평가 (정부 및 지자체 예타 평가)
-
정부 및 지자체 MICE 마스터플랜
-
전시회 가치평가 (투자심사, M&A)
-
정부, 지자체 전시산업 및 전시회 관련 컨설팅
-
전시회 관련 교육컨설팅
-
전시산업 통계 구축
-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전시회 연관 빅데이터 분석
-
국내 전시컨벤션센터 운영성과 측정
-
국내 전시회 운영성과 측정
-
해외전시마케팅 컨설팅
-
데이터기반 전시산업 디지털전환

전시산업 성과분석
-
전시컨벤션센터 운영 성과
-
국내 전시회 운영 성과
-
해외전시회 한국관 운영 성과
-
해외전시회 참가 성과 (중소기업, 중견기업 및 대기업)
-
전시회 가치평가
-
온라인전시회 성과평가
-
해외마케팅 성과분석

전시산업평가 및
통계구축
-
전시회 Quality 평가(등급)
-
전시산업 경쟁력 평가
-
전시산업 Market Analysis
-
전시산업 통계 구축
-
MICE산업 통계 구축
-
경제적 파급효과
-
빅데이터 분석
전시산업 정책 컨설팅
전시컨벤션센터 신증축 타당성조사
정부, 지자체 MICE 마스터플랜
전시주최자 컨설팅
협·단체 컨설팅
투자 컨설팅(M&A)

전시회 기획 및
전시 Business Model 개발
-
자체 전시회 기획
-
전시회 BM 컨설팅
-
전시회 투자 컨설팅
-
온라인전시회 플랫폼 구축


전시회 교육
전시아카데미 운영
신규 진입자 교육
재직자 위탁 교육
CEO & 매니저 교육
참가업체 교육
장치 및 디자인 교육

투자 및 크라우드펀딩
전시산업 창업컨설팅
전시상상창고 운영
크라우드펀딩
투자분석 및 컨설팅
해외전시마케팅
-
해외마케팅 종합 컨설팅
-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
바이어 매칭 지원
-
전시회 사전마케팅 지원
-
현장 마케팅 인력 지원
-
부스 장치 컨설팅
-
출영송 및 교통 지원

전시·컨벤션 인적자원관리
전시분야 헤드헌팅
단기 운영인력 조달
장기 계약인력 조달
인턴십 매칭
경력단절자 관리

수행 연구프로젝트 소개
Pride through Professionalism
-
2023 "전시산업 발전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
2023 "국내 전시회 컨설팅 지원사업 기획 및 운영". 서울관광재단
-
2023 "Seoul Food 글로벌 경쟁력 제고방안". 코트라
-
2022 "글로벌 PEO 심층조사 연구용역". 킨텍스
-
2021 "프리미엄급 온라인 전시관 구축 시범사업(5차) 만족도 조사 연구용역".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21 "행정중심복합도시 문화,국제교류 활성화(국제컨벤션) 전략수립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
2021 "환동해 해양복합전시센터 중장기 육성방안 수립 용역". 포항시청
-
2021 "서울 전시산업 지원방안 연구". 서울관광재단
-
2021 "2021년 서울시 전시회 지원사업 성과평가 연구".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21 "강원국제전시컨벤션센터 운영활성화 방안". 강원도
-
2021 "2021 내나라 여행박람회 행사 기획". 한국관광협회중앙회
-
2020 "국가재난시 전시산업 위기관리 중장기 대응방안 연구".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20 “대한민국 전시산업 50년사 편찬기획 및 자료수집",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20 "2019 수출컨소시엄 사업 성과평가 방안", 중소기업중앙회
-
2019 “2018 무역촉진단(단체전시회) 성과평가 방안, 중소기업중앙회
-
2019 “춘천(중도) 국제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강원중도개발공사
-
2019 “청주 전시관 조성사업 활성화 전략방안 연구 용역”, 충북개발공사
-
2019 “2018 MICE 산업통계 조사연구”, 한국관광공사
-
2018 “2020년 대규모 국제박람회 개최를 위한 연구”, 기획재정부
-
2018 “2017 MICE 산업통계 조사연구”, 한국관광공사
-
2018 “무역촉진단(단체전시회) 평가기준 및 제도개선 연구용역”, 중소기업중앙회
-
2017 “EXCO 중장기 발전방향 및 마스터플랜”, EXCO
-
2017 “전시산업발전 및 전시장 운영 효율화를 위한 연구”, 한국전시장운영자협의회
-
2016 “킨텍스 주관전시회 해외진출 방안 연구”, KINTEX
-
2016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시회 기획”, 한국국방마이스연구원
-
2015 “KINTEX 제3단계 확충사업 기본계획”, KINTEX
-
2015 “성공적 ICT 전시회를 위한 World IT Show 발전방안”, WIS 사무국
-
2014 "해외전시회 단체참가 수행기관 성과측정 지표개발",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14 "국제정보디스플레이전시회 (IMID) 발전방안 연구",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
2013 "전시산업 발전방안 연구(전시산업 5개년 종합계획)", 산업통상자원부
-
2012 "KOTRA 국내외 전시사업 발전 전략", KOTRA
-
2012 "WHO FCTC 제5차 당사국총회 성과평가연구", 한국건강증진재단
-
2011 "국방관련 전시회 발전방안 연구", 국방부
-
2011 "전주시 전시컨벤션센터 타당성조사 및 기본구상 연구용역", 전주시
-
2011 "인천 송도컨벤시아 확장을 위한 예비타당성 검토 용역", 인천관광공사
-
2011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및 MICE 신규입문자 일자리 창출 교육지원사업", 한국MICE협회
-
2009 "한국전자산업대전 지역경제파급효과 및 운영성과 분석",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
2008 "벡스코 시설확충사업 예비타당성조사", KDI
-
2007 "2007년도 국내(KINTEX)개최 전시회 지원사업 성과분석을 위한 업무", 경기도
-
2007 "무역촉진단 성과제고를 위한 연구", 중소기업청
-
2006 "2006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 해외마케팅지원사업", KDI
-
2006 "BRICs 전시정보집 제작", KOTRA
-
2006 "해외유망전시회 KOTRA 참가사업 선정모델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KOTRA
-
2006 "무역촉진단 성과제고 및 운영활성화방안 연구", 중소기업청
-
2005 "해외전시산업 통계조사 용역", 한국전시산업진흥회
-
2005 "컨벤션기획사 국가기술자격시험 시행개선 연구용역", 한국컨벤션이벤트산업협회
-
2004 "국제전시산업 활성화를 위한 산업정책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Messe Meister's Business Partners & Networks

대학: 독일 Dresden 공과대학교, 중국 북경 제2외국어대학, 중국 텐진상업대학, 미국 South Carolina 주립대학교
기업: 독일 E-STYLE LMC GmbH, 독일 INTEGRON GmbH
International Partners

대학 및 연구기관: 경희대학교, 국제전시연구포럼, 국방마이스연구원
학회: 한국무역전시학회, 한국MICE관광학회, 한독경상학회
전시기업: ㈜OSM, DM엑스포, ㈜전시렌탈119
컨벤션기업: ㈜M&C 커뮤니케이션즈, ㈜오프너
단체: 마이스운영사업자협동조합
언론: 한국경제신문
HR: ㈜커리어플래닝
National Partners

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기관: 코트라,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전시산업진흥회, 한국관광공사
전시장: 킨텍스, 코엑스, 엑스코, 벡스코, 송도컨벤시아, CECO, KDJ센터, 제주ICC
Networks
